본문 바로가기
건강

당신이 생각하고 있는 나트륨은 완전히 잘못됐다.

by 해덤시미스 2019. 3. 25.

안녕하세요 해덤스미스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말씀드렸던 

천연소금에 대해서 

포스팅하려 합니다!!


오늘은 크게 천연소금의

4가지 측면을 살펴볼건데요.


천연소금의 장점

체내 염분이 존재해야하는 부위

염분 부족시 발생하는 현상

천연소금 섭취량


이렇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함께 하시죠^^





"천연소금 먹으면 뭐가 좋은데?"



1. 풍부한 미네랄 


천연소금에는 

황, 인, 칼륨, 칼슘,

철, 마그네슘, 아연, 요오드 등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2. 원활한 대사기능


천연소금에 들어 있는 

천연 나트륨은 

신경의 신호전달, 

심장이나 혈관의

수축과 이완작용, 

신장 등 조직 내에서의

삼투압 작용을 합니다.


3. 체내 독소 방출


소금은 소변과 땀을 통해

체내의 합성물질뿐 아니라

자연의 독소도

배출시켜 면역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켜줍니다.


4. 효소의 활성화


효소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합니다.


체내 산성도 ph 7.4

체온 36.5도

체내 염분 0.9%


이렇게 3가지를 

만족시킬 때, 

효소가 활성화되고 


그 결과, 

노화된 세포와 병에 걸린 

조직이 분해되고

 새롭고 건강한 세포들이 생성됩니다. 


또한

장 속에 효소가 풍부하면 

혈당이나 혈압, 

단백질과 지방 수준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체내 있는 장소는 어딘데?"




체내 염분이 존재하는 곳은 

저희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부분에 다 있습니다.


먼저, 한순간도 빠짐없이

일해야하는 심장은 

탄력이 좋아야하기 때문에

염분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곳입니다.

그래서 암세포가 

심장에선 자라지 못하죠!


두 번째, 위액과 췌장액의 

주요성분으로 쓰입니다.

염분은 단백질을 

소화시켜야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반드시 필요한 물질입니다.


세 번째, 저희 뇌도

염분이 포함된 뇌척수액에

잠겨 있습니다.


네 번째, 뼈입니다.

저희 신체는 0.9%의 염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씀 드렸었죠??


0.9% 중 23%가 

뼈 안에 저장되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골다공증을 예방하려면

염분을 반드시 

섭취해야하죠!


마지막으로, 양수입니다.

양수란 태아가 머무는

장소입니다. 

염분에 있는 풍부한

미네랄을 통해 

태아 역시 영양분을

공급받게 됩니다.




"체내 염분이 부족하면 어떻게 되는데?"



체내 염분의 농도가 줄어들면

면역력이 급속도로 파괴됩니다.


그 결과, 저희 몸에서 효소가 

가장 활성화되는 

3가지 조건이 

먼저 붕괴됩니다.


체온이 36.5도 보다

내려가게되고


ph 7.4를 유지할 수 없으며

신장기능이 무너지고

혈관이 부식되어 


신부전증, 심장질환, 관절염, 암 등

각종 만성질병이 나타나게 됩니다.


대부분의 만성질환자는

저체온증 현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것은 천연소금의 부족이

원인입니다.




"천연소금 그럼 얼마나 먹어야 하는데?"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25세부터 75세까지 

성인 200,729명을 대상으로


1일 평균 소금섭취량을 

4등급으로 분류하여 

소금섭취량과 건강과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1일 평균 소금섭취량이 

가장 높은 19g 정도의 그룹에선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등

각종 질병발생률과 

조기사망률이 낮게 나타났고,


1일 평균 소금 섭취량이

가장 낮은 2그램 정도의 그룹에선

질병발생률과 조기사망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로 추정해볼 때, 

우리가 땀으로 내보내는 

염분의 양은 시간당 평균

0.1그램으로 


하루에 2그램 이상을 

땀으로 배출합니다. 


소변으로도 5그램 이상을

배출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대사과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루 20그램 이상의

천연소금을 섭취해야 합니다.


그래야 인체의 염분농도를

0.9퍼센트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